파이썬 기초 - 리스트 자료형
리스트형 자료형 리스트는 문자의 집합, 홀수 숫자의 집합 처럼 같은 데이터를 파이썬으로 리스트라 한다. odd = [1,3,5,7,9] print(odd) [1, 3, 5, 7, 9] print("다양한 리스트의 생김새:") print("비어있는 리스트:",[]) print("숫자 리스트:",[1,2,3]) print("문자 리스트:",['Life','is','too','short']) print("문자와 숫자가 있는 리스트:",[1,2,'Life','is']) print("리스트 안의 리스트:",[1,2,['Life','is']])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리스트의 인덱싱 a = [1,2,3] print(a) print("0번째:",a[0]) print("리스트 더하기:",a[0] + a[2]) pr..
파이썬의 자료형 - 숫자형, 문자형, 문자열 연산,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
숫자형 - 파이썬은 정수, 소수, 실수, 복소수 등 다양한 숫자형 데이터를 다룰 수 있다. - 그러나 정수나 실수 외에는 다루는 일이 거의 없다. 정수형 정수형 정수형이란 말 그대로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이다. 다음은 a라는 변수에 양의 정수와 음의 정수와 0을 입력하는 예입니다. a = 123 print("양의 정수 a 값:",a) a = -178 print("음의정수 a 값:",a) a = 0 print("숫자 0을 대입한 a 값:",a) 실수형 파이썬에서의 실수형은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를 의미한다. 다음은 a라는 변수에 실수 자료형을 입력하는 예입니다. a = 1.2 print("양의 실수 a 값:",a) a = -3.45 print("음의 실수 a 값:",a) 실수형 - 지수 지수 표현방식 파이썬에..